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옥주현
- 컨트롤러 테스트
- 의존성주입
- WebClientTest
- Dependency Injection
- springboot
- @EntityGraph
- spring boot
- 시야
- 의존성
- 에녹
- 이지혜
- 인사이트
- 민영기
- 스프링
- 신영숙
- 레베카
- controller test
- 통합테스트
- 충무아트센터
- TDD
- 최범균
- 단위테스트
- 기능테스트
- 스프링부트
- 테스트 주도개발
- 백엔드
- 스프링 부트
- Mockito
- 레베카 시야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
@Override
헬름으로 쿠베 매니페스트 파일 패키지매니저 처럼 관리 가능 -> 공통모듈처럼 사용가능? 동일한 이름의 매니페스트 파일로 애플리케이션 1개만 생성가능하지만 핼름으로는 여러 벌 생성가능
디플로이먼트의 업데이트 전략 - 롤링 (2, 0) (1, 1) (0, 2) - 리크리에이트 (2, 0) (1, 0) (0, 0) (0, 1) (0, 2) 롤링이 기본값 리크리에이트는 특수항 경우만 옵션을 통해 롤링의 속도나 생성되는 파드 개수 조절 가능 데몬셋 스테이트풀셋도 롤링/온딜리트 두 가지 방식 존재 온딜리트는 파드의 제거 시점을 직접 통제 롤링은 기본적으로 여러 버전이 동시동작 가능해야한다 이것이 불가능할때 블루그린 이용 블루그린은 앱이 두 개 뜨기 때문에 자원이 많이 필요
1. 파드가 대체되어도 emptyDir안의 내용은 남아있다. (O, X)2. 정적 볼륨 프로비저닝은 PV, PVC를 둘 다 명시해야 하고, 동적 볼륨 프로비저닝은 PVC만 명시해도 PV가 알아서 생성된다. (O, X) 1. 다음을 추상화 계층 순서대로 나열a. 레플리카셋, b. 컨테이너 c. 파드, d. 디플로이먼트 2. 쿠버네티스는 리소스 간 의존 관계를 레이블 셀렉터를 이용해서 형성한다. (O, X)3. 레이블을 수정하지 않았을때, 컨트롤러 리소스를 삭제해도 관리 대상 리소스는 삭제되지 않는다 (O, X)
yaml를 작성할 때 env 필드에서 환경 변수 작성하는 방법 -> 보통 설정이 복잡 (키값은 동일하나 값만 다른경우도 있음) yaml 파일과 설정값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 컨피그맵 시크릿컨피그맵에는 설정값을, 시크릿에는 비밀 값을 저장 값을 Pod로 넘기는 방법Pod.yaml의 환경 변수 (컨피그맵 따로 만들어서)Pod의 볼륨 마운트 쿠버네티스에 설정값 전달하는 방법1. 컨피그맵, 2. 시크릿 컨피그맵은 파드에서 전달할 데이터를 저장한 리소스환경변수가 컨피그맵 보다 우선순위 높음 -> 파드 별로 설정 가능볼륨마운트 방식으로 전달가능 -> 컨피그맵 디렉터리 취급 시크릿은 컨피그맵과 비슷하나 시크릿은 base64로 인코딩 돼서 저장되고, 노출이 최소화됨시크릿값을 환경변수로 불러올 수 있으나, 노출이 ..